LOG IN JOIN CART

마이페이지

최근 본 상품

고객센터

Categories


도서
가정/자녀양육
간증/에세이
교회
기도
기독교교육
기독교문학
기독교역사
도서기타
목회
상담/치유
선교/전도
설교
성경공부
성경연구
신앙생활
신학
어린이/청소년
연애/결혼
영적성장
예배
일반도서
주석
주일공과/교재
찬송가
큐티/잡지
테마별도서
성경
개역개정
개역개정 주석
개역한글성경
관주성경
그림성경
노년(50대이상)
노트성경
단본성경
대한기독교서회
두란노성경
문맥성경
비치용성경
새번역성경
새신자용
생명의말씀사
성경공부용
성서원
쉬운말성경
쉬운성경
아가페성경
암송용
어린이(8세~13세)
어린이성경
연대기성경
영어성경
오디오용
외국어성경
우리말성경
웨딩,커플성경
장년(40대)
주석성경
쪽(분책)성경
찬송가
청소년(10대)
청장년(20~30대)
침례표기성경
큰글자성경
태교,유아(~7세)
통독성경
필사용
한글성경
현대어성경
휴대용
음반/DVD
구성별
국내예배
대상별
두란노뮤직
세미나
악보
어린이
연주음악
영상 VCD/DVD
용도별
일반음악
주제별
찬송가/성가
컴필레이션
해외예배
CCM
행사/전도
교회서식
목회/자료
문화용품
생활가전
생활용품
성구용품
성례용품
신앙생활
어린이
잡화용품
절기/행사용품
행사용품
어린이
도서
성경
음반/DVD
행사/전도

호모파베르의미래

손화철   |   Dec 30, 2020
  • $52$28.6 (45 %)
  • 주문수량 권(EA)

  • 상태 : 재고없음 (주문가능)
  • * 발송예정일 : 주문일로부터 7~10일 이내
  • (유통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페이지 : 432쪽
  • 무게 : 821g
  • 출판사 : 아카넷
  • ISBN : 9788957337165
  • 상태 : 주문가능
Overview <>

책소개

포스트휴먼 시대의 기술사회에 대한 철학적 성찰

실천하는 기술철학과 바람직한 미래의 기획


오늘 포스트휴먼을 논하는 우리의 기술사회는 목적지조차 불분명한 표류 상태에 있다. 질주하는 첨단의 기술은 이미 인간의 통제와 기대, 예상과 상상을 벗어난 것처럼 보인다. 과연 진보를 거듭하는 시대에 기술 발전은 인류에게 주어진 숙명이자 환경일 뿐일까? 어떻게 해야 미래 사회에 대한 단순한 예측을 넘어서 미래를 준비하고 개척할 수 있을까?


이 책은 현대 기술철학 이론의 여러 흐름을 정리하고 기술사회에 대한 철학적 성찰을 통해 인간의 자리를 묻는 한편, 열린 태도로 ‘호모 파베르’의 미래를 전망하면서 인류의 능동적 역할과 실천 방안을 제시한다. 인간과 기술과 세계에 대한 성찰의 공간을 확보하는 일, 곧 실천철학으로서의 기술철학의 길을 모색한다.



목차

서문

서론: 기술을 묻다
1. 10만 년의 반감기
2. 도시의 확장과 인류세
3. 알파고의 ‘배움’
4. 기술철학의 물음: 인간과 기술
5. 이 책의 목표와 구성

1장 기술철학의 정체성 찾기
1. 기술과 철학, 그 뒤늦은 만남에 대하여
2. 기술철학 이론들의 분류 방법
3. 유관 분야와의 비교
4. 실천철학으로서의 기술철학과 그 역동성

1부 기술철학의 흐름

2장 고전적 기술철학
1. 고전적 기술철학의 맥락
2. 존재와 기술: 마르틴 하이데거
3. 자율적이 된 기술: 자크 엘륄
4. 미래 사회에 대한 책임: 한스 요나스
5. 새로운 기술의 가능성: 허버트 마르쿠제
6. 민주적 기술을 향하여: 루이스 멈포드
7. 고전적 기술철학에 대한 비판적 고찰

3장 경험으로의 전환
1. 경험으로의 전환이 일어난 맥락
2. 인식론적 기술철학: 조셉 핏
3. 기술의 현상학: 돈 아이디
4. 기술의 사회적 구성주의
5. 기술코드의 민주적 변화: 앤드류 핀버그
6. 기술의 정치학: 랭던 위너
7. 기술과 좋은 삶: 알버트 보르그만
8. 경험으로의 전환의 선구: 개혁주의 기술철학
9. 경험으로의 전환에 대한 비판적 고찰

4장 포스트휴머니즘
1. 무한한 발전의 가능성에 대한 희망
2. ‘포스트휴머니즘’의 두 갈래
3. 포스트휴머니즘의 선행 이론들
4. 휴먼과 포스트휴먼
5. 포스트휴머니즘의 한계
6. 기술철학의 과제

2부 이론적 대안의 모색

5장 호모 파베르의 역설
1. 호모 파베르, 도구를 만들어 쓰는 인간
2. 앙리 베르그손의 호모 파베르 개념
3. 한나 아렌트의 호모 파베르 개념
4. 호모 파베르의 두 가지 역설
5. 호모 파베르의 시대, 21세기

6장 호모 파베르의 역설로 본 기술철학 이론
1. 기술-인간 관계의 이해에 따른 기술철학 이론들의 비교
2. ‘호모’ 파베르의 자리
3. ‘파베르’의 영향력
4. 인간의 열린 본성
5. 열린 인간관의 최소 조건: 상상력을 제어하는 윤리
6. 미래는 현재의 기획

7장 목적이 이끄는 기술 발전
1. 실천철학으로서의 기술철학
2. 목적이 이끄는 기술 발전: 우리는 이 기술을 왜 개발하는가?
3. 기술철학과 공학설계의 만남
4. 접근성, 새로운 진보의 기준
5. 기술 발전의 속도가 지닌 의미
6. 기술 발전의 궁극 목표로서의 좋은 세상

3부 기술철학의 응용과 실천 방안

8장 공학자의 자리
1. 기술사회에서 공학자의 위상
2. 공학자와 전문가주의
3. 공학자의 사회적 책임
4. 공학윤리 교육
5. 강력한 공학자 단체
6. 공학적 철학과 철학적 공학

9장 개별 첨단기술의 미래와 기술철학
1. 철학적으로 중요한 기술
2. 유전자 가위와 인간향상기술
3. 빅데이터
4. 개별 기술의 철학

10장 21세기 호모 파베르와 과학기술 거버넌스
1. 한국 사회에서 과학기술의 자리
2. 포스트휴먼 시대의 과학기술 거버넌스
3. 목적이 이끄는 미래의 과학기술 거버넌스를 위한 제안

결론: 기술의 시대 인간의 자리

주석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