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신학자 10여명 연구공동체 〈평화와신학〉 결성
2018년 4월 27일 판문점에서는 남북정상회담이 열렸다. 도보다리 회담이라 일컬어지는 그날의 사건은 깊은 인상을 남겼다. 이 사건은 평화를 열망하는 그리스도인들과 신학자들에게 영감과 도전을 주었고, 한국, 미국, 독일에서 활동하던 한국인 신학자 십여 명이 연구 공동체 〈평화와신학〉을 결성하게 한 계기가 되었다. 〈평화와신학〉은 “국가와 자본이 주도하고 있는 현재의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교정하여, 민(民)이 주체가 되어 민족의 활로를 열어”가는 것을 평화를 위한 신학운동의 당면과제로 삼는다.
목차
서문 : 전쟁의 도덕적 등가물_ 정경일
1부 역사적·트랜스내셔널 트라우마
‘균열된 주체($)’들을 위하여 : 유령론으로 읽는 분단시대 역사지리지_ 이상철
역사적 트라우마와 모든 죽은 자를 위한 애도_ 정경일
미국이 잊어버린 전쟁(Forgotten War)에 대한 기억 : 한국전쟁과 트랜스내셔널 트라우마_ 배근주
낯선 집에서의 친밀한 조우 : 모리슨의 홈과 예수의 홈커밍 이야기 _ 최진영
너희의 평화는 없다 : 한국 그리스도교의 반공주의는 베트남전을 어떻게 정당화했나_ 이찬수
2부 기억과 용서의 공간
평화로 가는 길 : 기억의 재구성과 용서의 지역화_ 김희헌
탈냉전의 사회적 공간과 용서의 공동체_ 양권석
3부 우리 안의 타자
양심적 병역 거부, 국가 폭력 거부_ 김나미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신자유주의적 복음화 전략에 관한 연구_ 송진순
소녀와 아들과 나 : 희생자 의식 민족주의와 식민지 남성성에 갇힌 민주주의_ 조민아
4부 민중신학과 평화
국가보안법에 대한 인권 신학적 비판_ 최형묵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포스트세계화 시대 민중신학의 평화 담론_ 김진호